1. 충전전로에 대한 접근 한계거리를 쓰시오 (4점)
① 380V ② 1.5kV ③ 6.6kV ④ 22.9kV |
① 30cm ② 45cm ③ 60cm ④ 90cm
충전전로의 선간전압 (단위: 킬로볼트) |
충전전로에 대한 접근 한계거리 (단위: 센티미터) |
충전전로의 선간전압 (단위: 킬로볼트) |
충전전로에 대한 접근 한계거리 (단위: 센티미터) |
0.3kV 이하 0.3kV 초과 0.75kV 이하 0.75kV 초과 2kV 이하 2kV 초과 15kV 이하 15kV 초과 37kV 이하 37kV 초과 88kV 이하 88kV 초과 121kV 이하 |
접촉금지 30 45 60 90 110 130 |
121kV 초과 145kV 이하 145kV 초과 169kV 이하 169kV 초과 242kV 이하 242kV 초과 362kV 이하 362kV 초과 550kV 이하 550kV 초과 800kV 이하 |
150 170 230 380 550 790 |
2. 시몬즈 방식에 보험코스트와 비보험코스트 중 비보험코스트 항목(종류) 4가지를 쓰시오 (4점)
① 휴업상해 ② 통원상해 ③ 구급 조치 ④ 무상해 사고
3. 작업발판 일체형거푸집 종류 4가지를 쓰시오 (4점)
① 갱 폼 ② 슬립 폼 ③ 클라이밍 폼 ④ 터널 라이닝 폼
4.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른 산업안전보건위원회의 심의・의결 사항을 4가지 쓰시오 (4점)
① 산업재해예방계획의 수립에 관한 사항
② 안전보건관리규정의 작성 및 변경에 관한 사항
③ 근로자의 안전ㆍ보건 교육에 관한 사항
④ 작업환경측정 등 작업환경의 점검 및 개선에 관한 사항
⑤ 근로자의 건강진단 등 건강관리에 관한 사항
⑥ 산업재해에 관한 통계의 기록 및 유지에 관한 사항
* 산업안전보건법 - 제19조(산업안전보건위원회) (2) 사업주는 다음 각 호의 사항에 대하여는 산업안전보건위원회의 심의ㆍ의결을 거쳐야 한다. ① 산업안전보건법 제13조 제(1)항 제①호부터 제⑤호까지 및 제⑦호에 관한 사항 * 산업안전보건법 - 제13조(안전보건관리책임자의 직무) (1) 사업주는 다음 각 호의 업무를 총괄ㆍ관리할 안전보건관리책임자를 두어야 한다. ① 산업재해 예방계획의 수립에 관한 사항 ② 제20조에 따른 안전보건관리규정의 작성 및 변경에 관한 사항 ③ 제31조에 따른 근로자의 안전ㆍ보건교육에 관한 사항 ④ 제42조에 따른 작업환경측정 등 작업환경의 점검 및 개선에 관한 사항 ⑤ 제43조에 따른 근로자의 건강진단 등 건강관리에 관한 사항 ⑥ 산업재해의 원인 조사 및 재발 방지대책 수립에 관한 사항 ⑦ 산업재해에 관한 통계의 기록 및 유지에 관한 사항 ⑧ 안전ㆍ보건과 관련된 안전장치 및 보호구 구입 시의 적격품 여부 확인에 관한 사항 ⑨ 그 밖에 제4장에 따른 근로자의 유해ㆍ위험 예방조치에 관한 사항으로서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사항 |
5. 시험가스농도 1.5%에서 표준유효시간이 80분인 정화통을 유해가스농도가 0.8%인 작업장에서 사용할 경우 유효사용 가능시간을 계산하시오 (4점)
파과시간 =
150분
6. 다음 설명에 맞는 프레스 및 전단기의 방호장치를 각각 쓰시오 (4점)
① 슬라이드 하강 중 정전 또는 방호장치의 이상 시에 정지할 수 있는 구조이어야 한다. |
① 광전자식(감응식) 방호장치
② 양수조작식 방호장치
③ 손쳐내기식 방호장치
④ 수인식 방호장치
1. 광전자식 방호장치의 일반사항 광전자식 방호장치의 일반구조는 다음 각 목과 같이 한다. ① 정상동작표시램프는 녹색, 위험표시램프는 붉은색으로 하며, 쉽게 근로자가 볼 수 있는 곳에 설치해야 한다. ② 슬라이드 하강 중 정전 또는 방호장치의 이상 시에 정지할 수 있는 구조이어야 한다. ③ 방호장치는 릴레이, 리미트 스위치 등의 전기부품의 고장, 전원전압의 변동 및 정전에 의해 슬라이드가 불시에동작하지 않아야 하며, 사용전원전압의 ± (100분의 20)의 변동에 대하여 정상으로 작동되어야 한다. ④ 방호장치의 정상작동 중에 감지가 이루어지거나 공급전원이 중단되는 경우 적어도 두개 이상의 출력신호개폐장치가 꺼진 상태로 돼야 한다. ⑤ 방호장치에 제어기(Controller)가 포함되는 경우에는 이를 연결한 상태에서 모든 시험을 한다. 2. 양수조작식 방호장치의 일반구조 양수조작식 방호장치의 일반구조는 다음 각 목과 같이 한다. ① 정상동작표시등은 녹색, 위험표시등은 붉은색으로 하며, 쉽게 근로자가 볼 수 있는 곳에 설치해야 한다. ② 슬라이드 하강 중 정전 또는 방호장치의 이상 시에 정지할 수 있는 구조이어야 한다. ③ 방호장치는 릴레이, 리미트스위치 등의 전기부품의 고장, 전원전압의 변동 및 정전에 의해 슬라이드가 불시에 동작하지 않아야 하며, 사용전원전압의 ± (100분의 20)의 변동에 대하여 정상으로 작동되어야 한다. ④ 1행정1정지 기구에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. ⑤ 누름버튼을 양손으로 동시에 조작하지 않으면 작동시킬 수 없는 구조이어야 하며, 양쪽버튼의 작동시간 차이는 최대 0.5초 이내일 때 프레스가 동작되도록 해야 한다. ⑥ 1행정마다 누름버튼에서 양손을 떼지 않으면 다음 작업의 동작을 할 수 없는 구조이어야 한다. ⑦ 램의 하행정중 버튼(레버)에서 손을 뗄 시 정지하는 구조이어야 한다. ⑧ 누름버튼의 상호간 내측거리는 300㎜ 이상이어야 한다. ⑨ 누름버튼(레버 포함)은 매립형의 구조로서 다음 각 세목에 적합해야 한다. 다만, 그림 1과 같이 시험 콘으로 개 구부에서 조작되지 않는 구조의 개방형 누름버튼(레버 포함)은 매립형으로 본다. ㉠ 누름버튼(레버 포함)의 전구간(360°)에서 매립된 구조 ㉡ 누름버튼(레버 포함)은 방호장치 상부표면 또는 버튼을 둘러싼 개방된 외함의 수평면으로부터 하단(2㎜ 이상)에 위치 버튼 및 레버는 작업점에서 위험한계를 벗어나게 설치해야 한다. 양수조작식 방호장치는 푸트스위치를 병행하여 사용할 수 없는 구조이어야 한다. 3. 손쳐내기식 방호장치의 일반구조 손쳐내기식 방호장치의 일반구조는 다음 각 목과 같이 한다. ① 슬라이드 하행정거리의 3/4 위치에서 손을 완전히 밀어내어야 한다. ② 손쳐내기봉의 행정(Stroke) 길이를 금형의 높이에 따라 조정할 수 있고 진동폭은 금형폭 이상이어야 한다. ③ 방호판과 손쳐내기봉은 경량이면서 충분한 강도를 가져야 한다. ④ 방호판의 폭은 금형폭의 1/2 이상이어야 하고, 행정길이가 300㎜ 이상의 프레스기계에는 방호판 폭을 300㎜로 해야 한다. ⑤ 손쳐내기봉은 손 접촉 시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완충재를 부착해야 한다. ⑥ 부착볼트 등의 고정금속부분은 예리하게 돌출되지 않아야 한다. 4. 수인식 방호장치의 일반구조 수인식 방호장치의 일반구조는 다음 각 목과 같이 한다. ① 손목밴드(wrist band)의 재료는 유연한 내유성 피혁 또는 이와 동등한 재료를 사용해야 한다. ② 손목밴드는 착용감이 좋으며 쉽게 착용할 수 있는 구조이어야 한다. ③ 수인끈의 재료는 합성섬유로 직경이 4㎜ 이상이어야 한다. ④ 수인끈은 작업자와 작업공정에 따라 그 길이를 조정할 수 있어야 한다. ⑤ 수인끈의 안내통은 끈의 마모와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조치를 해야 한다. ⑥ 각종 레버는 경량이면서 충분한 강도를 가져야 한다. ⑦ 수인량의 시험은 수인량이 링크에 의해서 조정될 수 있도록 되어야 하며 금형으로부터 위험한계 밖으로 당길 수있는 구조이어야 한다. |
7. 다음 교육 시간을 쓰시오 (5점)
① 안전관리자 신규교육 시간 : ( )시간 이상 |
① 34 ② 6 ③ 3 ④ 8 ⑤ 2
8. HAZOP 기법에 사용되는 가이드 워드에 관한 의미를 영문으로 쓰시오 (4점)
① 완전한 대체 ② 성질상 증가 ③ 설계의도의 완전한 부정 ④ 설계의도의 정반대 |
① OTHER THAN ② AS WELL AS ③ NO, NOT ④ REVERSE
가이드워드 |
의미 |
설명 |
AS WELL AS |
성질상의 증가 |
설계 의도 외에 다른 변수가 부가되는 상태 |
PART OF |
성질상의 감소 |
설계 의도대로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 |
OTHER THAN |
완전한 대체의 사용 |
설계 의도대로 설치되지 않거나 운전 유지되지 않는 상태 |
REVERSE |
설계의도의 논리적인 역 |
설계 의도의 정반대로 나타나는 상태 |
LESS |
양의 감소 |
변수가 양적으로 감소되는 상태 |
MORE |
양의 증가 |
변수가 양적으로 증가되는 상태 |
NO, NOT |
설계의도의 완전한 부정 |
설계의도에 완전히 반하여 변수의 양이 없는 상태 |
9. 연삭기의 덮개 각도를 쓰시오. (단, 이상, 이하, 이내를 정확히 구분해서 쓰시오) (3점)
① 125° 이내 ② 60° 이상 ③ 15° 이상
10. 다음 중 노출기준이 가장 낮은 것과 높은 것을 쓰시오 (4점)
[보기] ① 암모니아 ② 불소 ③ 과산화수소 ④ 사염화탄소 ⑤ 염화수소 |
가) 낮은 것 : ② 불소
나) 높은 것 : 단위 ppm을 기준으로 하여 ① 암모니아
일련 번호 |
유해물질의 명칭 |
화학식 |
노출기준 |
||||
TWA |
STEL |
||||||
국문표기 |
영문표기 |
||||||
ppm |
㎎/㎥ |
ppm |
㎎/㎥ |
||||
6 |
과산화수소 |
Hydrogen peroxide |
H2O2 |
1 |
1.5 |
- |
- |
225 |
불소 |
Fluorine |
F2 |
0.1 |
0.2 |
- |
- |
250 |
사염화탄소 |
Carbon tetrachloride |
CCl4 |
5 |
30 |
- |
- |
368 |
암모니아 |
Ammonia |
NH3 |
25 |
18 |
35 |
27 |
405 |
염화 수소 |
Hydrogen chloride |
HCl |
1 |
1.5 |
2 |
3 |
11. 근로자의 추락 등에 의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안전난간의 주요구성 요소 4가지를 쓰시오(4점)
① 상부 난간대
② 중간 난간대
③ 발끝막이판
④ 난간기둥
12. 다음 보기의 위험물과 혼재 가능한 물질을 쓰시오 (4점)
[보기] ① 산화성고체 ② 가연성고체 ③ 자연발화 및 금수성 ④ 인화성액체 ⑤ 자기반응성물질 ⑥ 산화성액체 |
가) 산화성고체 : ⑥
나) 가연성고체 : ④ ⑤
다) 자기반응성물질 : ② ④
라) 자연발화성 및 금수성 : ④
위험물의 |
제1류 산화성고체 |
제2류 가연성고체 |
제3류 자연발화 및 금수성 |
제4류 인화성액체 |
제5류 자기반응성물질 |
제6류 산화성액체 |
구분 |
||||||
제1류 |
|
× |
× |
× |
× |
○ |
제2류 |
× |
|
× |
○ |
○ |
× |
제3류 |
× |
× |
|
○ |
× |
× |
제4류 |
× |
○ |
○ |
|
○ |
× |
제5류 |
× |
○ |
× |
○ |
|
× |
제6류 |
○ |
× |
× |
× |
× |
|
13. 4m 거리에서 Landolt ring(란돌트 고리)을 1.2mm 까지 잘할 수 있는 사람의 시력을 구하시오 (3점)
(단, 시각은 600‘ 이하일 때이며, radian 단위를 분으로 환산하기 위한 상수값은 57.3과 60을 모두 적용하여 계산하도록 한다.)
① 시각 =
(H : 틈 간격 1.2[mm], D : 글자의 거리 4000[mm])
② 시각 =
1.0314[분]
③ 시력 =
= 0.969 = 0.97
14. 아래 보기중 산업안전관리비로 사용 가능한 항목을 4가지 골라 번호를 쓰시오 (4점)
[보기] ① 면장갑 및 코팅장갑의 구입비 ② 안전보건 교육장내 냉ㆍ난방 설비 설치비 ③ 안전보건 관리자용 안전 순찰차량의 유류비 ④ 교통통제를 위한 교통정리자의 인건비 ⑤ 외부인 출입금지, 공사장 경계표시를 위한 가설울타리 ⑥ 위생 및 긴급 피난용 시설비 ⑦ 안전보건교육장의 대지 구입비 ⑧ 안전관련 간행물, 잡지 구독비 |
② ③ ⑥ ⑧
'산업안전기사 > 산업안전기사 필답형 기출문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산업안전기사 필답형 2019년 3회 (0) | 2021.07.22 |
---|---|
산업안전기사 필답형 2019년 2회 (0) | 2021.07.22 |
산업안전기사 필답형 2013년 2회 (0) | 2020.08.24 |
산업안전기사 필답형 2013년 3회 (0) | 2020.08.24 |
산업안전기사 필답형 2014년 1회 (0) | 2020.08.24 |
댓글